공지사항

따뜻한 봄 햇살이 완연한 요즘, 야외 활동을 즐기기에 더없이 좋은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온이 오르고 맑고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전국 곳곳에 건조주의보가 발령되었습니다.

건조한 날씨는 우리의 건강과 안전에 여러 가지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번 주말, 안전하고 건강하게 봄을 만끽하기 위해 건조한 날씨에 대비하는

화재 예방 및 피부 건강 관리법을 꼼꼼히 확인하시고 실천하시기 바랍니다.

 

Gemini_Generated_Image_9o59su9o59su9o59.jpeg

 

건조한 날씨, 왜 위험할까요?

-화재 발생 위험 증가 : 건조한 환경은 작은 불씨도 크게 번지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등산이나 캠핑 등 야외 활동 시 부주의로 인한 산불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실내에서도 작은 방심이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피부 건조 및 가려움증 유발 : 낮은 습도는 피부의 수분을 빼앗아 건조하게 만들고,

심한 경우 가려움증, 각질, 피부 트러블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호흡기 질환 악화 : 건조한 공기는 기관지 점막을 자극하여 기침, 인후통 등 호흡기 질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평소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분들은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안구 건조증 유발 : 건조한 환경은 눈의 수분을 증발시켜 안구 건조증을 유발하고, 뻑뻑함, 이물감, 충혈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화재로부터 안전을 지키는 예방 수칙

건조한 날씨에는 작은 부주의가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음의 화재 예방 수칙을 꼭 지켜주세요.

산불 예방

- 입산 시 인화성 물질(라이터, 버너 등) 소지를 최대한 자제하고, 지정된 장소 외에서는 취사 및 흡연을 절대 금지합니다.

- 산림 인접 지역에서는 논밭두렁 소각, 쓰레기 소각 등 불씨 취급을 삼가고,

부득이하게 불을 사용해야 할 경우 반드시 소방서나 관계기관에 신고 후 안전 수칙을 준수합니다.

- 등산 시에는 정해진 등산로를 이용하고, 화기물을 발견하면 즉시 신고합니다.

가정 및 실내 화재 예방

- 전기 제품 사용 전후 플러그를 뽑고,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을 자제합니다.

- 오래된 전선이나 손상된 전열 기기는 즉시 교체합니다.

- 가스레인지 주변에 인화성 물질을 두지 않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잠금 상태를 확인합니다.

- 소화기 위치와 사용법을 숙지하고,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에 힘씁니다.

- 취침 전에는 난방 기기의 전원을 끄고, 주변에 가연성 물질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건조한 날씨, 촉촉하고 건강한 피부 관리법

건조한 날씨는 피부의 수분을 빼앗아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다음의 피부 건강 관리법을 통해 촉촉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세요.

충분한 수분 섭취 : 하루 8잔 이상의 물을 꾸준히 마셔 몸속부터 수분을 채워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습제 꼼꼼히 바르기 : 세안 직후 또는 샤워 후 물기가 마르기 전에 보습제를 충분히 발라 피부 수분 증발을 막아줍니다.

피부 타입에 맞는 보습제를 선택하고, 건조함이 심한 부위에는 여러 번 덧발라줍니다.

실내 습도 유지 :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젖은 수건을 널어 실내 습도를 40~60%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지근한 물로 샤워 및 세안 : 뜨거운 물은 피부의 유분을 과도하게 제거하여 건조함을 악화시키므로,

미지근한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극적인 세안제 피하기 : 알칼리성이 강하거나 스크럽 성분이 있는 세안제는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하고,

순한 클렌저를 사용합니다.

마스크팩 활용 : 일주일에 1~2회 정도 보습 마스크팩을 사용하여 피부에 집중적으로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가려움증 완화 : 피부가 심하게 가렵다면 긁지 말고, 냉찜질을 하거나 보습제를 덧발라 진정시킵니다.

증상이 지속되면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도한 난방 자제 : 실내 난방은 공기를 건조하게 만들므로, 적정 온도를 유지하고 필요시 가습기를 함께 사용합니다.

 

이번 주말, 전국에 발령된 건조주의보를 기억하시고, 화재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은 물론,

피부 건강 관리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주의를 기울여 안전하고 건강한 봄날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작은 실천이 큰 위험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세요!